1. 투자를 할 때 4가지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.
SAFETY 안전한가? | POTENTIAL GROWTH 돈이 자라는가? |
TAX ADVANTAGE 택스 혜택이 있는가? | LIQUIDITY 자유롭게 돈을 뺄 수 있는가? |
2. 나의 투자대상은 어디에 집중해 있을까?
REAL ESTATE 부동산 | STOCKBOND 주식과 채권 |
BANK 은행 | INSURANCE 보험 |
3. 두 표를 합쳐서 각각의 투자상품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자.
SAFETY | POTENTIAL GROWTH | TAX ADVANTAGE | LIQUIDITY | |
REAL ESTATE | ☹️ | ☹️ | 😀 | ☹️ |
STOCKBOND | ☹️ | ☹️ | 😡 | 😀 |
BANK | 😀 | 😡 | 😡 | 😀 |
INSURANCE | 😀 | 😀 | 😀 | 😡 |
- 부동산은 1불이라도 이전 것보다 비싼 것을 구입하면 택스를 유예시켜 준다. 오늘 산 집을 내일 팔 수는 없는 법, 바로 돈을 꺼내 쓰는 것에는 취약하다.
- 주식과 채권은 급하면 당장이라도 팔아 현금화 할 수 있다. 수익은 개인차가 분명하고 시장의 상황에 따라 명암이 크게 갈린다. 배당 수익과 주식을 매도했을 때의 이익금에 대한 택스를 내야 한다.
- 은행은 비교적 안전하며, 언제라도 돈을 넣고 뺄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자율이 낮고 택스 혜택은 없다.
- 보험은 안전하고, 수익률이 높으며 여러가지 택스 혜택을 많이 볼 수 있다. 돈의 증식에는 시간이 걸리므로 오랜 시간 묵혀놓는 것이 이득이다.
위의 표를 바탕으로 한 현명한 투자 아이디어는 뭘까?
- Short term investment (단기투자) - 주식, 코인, 본드, 은행
- Mid term Investment (중기 투자) - 부동산
- Long term Investment (장기 투자) - 보험
몰빵이 가장 위험하다.
나의 모든 재산을 코인이나 주식에 쏟아넣어 한탕을 누리는 것은 더 위험하다.
다양한 금융상품에 분산 투자하여 '돈이 돈을 버는' 열매를 철마다 거둘 수 있게 계획해야 한다.
남들 다 한다고 따라하다가 내 귀한 재산을 홀라당~ 날리지 말고
나의 투자 상품을 깐깐하게 꼭, 꼭, 꼭 따져 보자.
'금융문맹 탈출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돈이 돈을 벌게하자 - Passive income (0) | 2024.02.26 |
---|---|
내 재정상황을 점검해 줄 신기한 도표 - X-Curve (0) | 2024.02.26 |
내 돈을 가능한 많이 불리고 싶다! (Rule of 72) (2) | 2024.02.25 |